대체로 Control 밸브로 Globe, Ball, Butterfly, Diaphragm 밸브가 Control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
그러나 밸브마다 압력회복이 다르기 때문에 밸브의 종류에 따라서 Cv가 같더라도 유량은 같지 않으며 밸브 종류에 따라 수십 %정도 차이가 있는것도 있습니다.
유체가 밸브의 제일 좁은 부위를 통과할 때 유속은 증가하며 증가한 만큼 압력은 감소합니다. 제일 좁은 부위를 통과한 유체는 흐르는 힘에 의하여 좀 더 수축되는데 이 부위를 수축부(Vena Contractor)라 합니다.
이때에 유체의 단면적과 압력은 최소가 되고 유속은 최대가 됩니다. 이 수축부를 지나면 압력과 유속은 다시 회복됩니다. 그러나 회복율은 밸브마다 다른데 이것을 밸브의 압력회복 계수(FI)라 합니다.
Fl=((P1-P2)/(P1-Pvc))^0.5
Fl : 압력 회복계수
P1 : 입구 압력
P2 : 출구 압력
Pvc : 수축부 압력(Super Cooled Vapor Pressure)
Ball 이나 Butterfly 밸브는 압력회복이 Globe 밸브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저압에서는 Flashing이나 Cavitation 이 발생하기
쉽습니다. 예를 들어 Globe 밸브와 Butterfly 밸브를 비교했을때 두 밸브의 Cv가 같다면 측정된 차압이 달라도 유량은 같아야 합니다. 그런데 Cavitation, Flashing 현상이 일어난다면 실제 유량은 전혀 다르게 나타날 겁니다.
자 그럼 오늘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! Cavitation과 Flashing을 방지하기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?
Cavitation은 먼저 고려해 보면
① 가능하면 dP 값을 적게 가져가는 겁니다.
② 계산치보다 큰 구경을 선정 하고
③ 차압을 순차적으로 감소 시킬수 있게 밸브를 여러개 설치합니다.
④ 액체의 포화 증기압 이상이 될 수 있도록 밸브를 가능한 한 낮은 곳에 설치하여 수두를 크게 가져 가거나,
공정 압력을 올립니다.
Flashing은 유체의 증기압보다 낮고 회복된 압력도 유체의증기압보다 낮아 밸브출구측에서 Vapor가 발생하는 겁니다. 이 현상을 Flushing이라하며 이 증기가 액체와 같이 흘러 실제유량은 상대적으로 적어짚니다..따라서 계산상 Cv는 Flashing 일 때에는 반드시 보정해 주어야 합니다.
'Instrument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LC vs. DCS (0) | 2016.10.07 |
---|---|
Electrical trace heating 과 Steam trace heating 중에 어떤게 더 좋을까요? (0) | 2016.05.14 |
Control Valve 의 Dead Band (0) | 2016.04.07 |
Vortex flow meter / 유량계 (0) | 2016.04.03 |